본문 바로가기
Information

아이가 7살이 되기 전까지 최대한 자산을 모아야 합니다.

by 불꽃히멀 2025. 3. 24.
반응형

안녕하세요~

'개별주 투자로 일 년에 50% 수익 내자!'를

목표 수정을 하고 오늘도 열심히 달리고 있습니다.

와이프와 어제 이야기를 하면서

제가 생각하고 있는 부분에 대해 다시 한번

이야기를 해보았습니다.

1. 아이가 7세가 되기 전

최대한 자산을 모아야 하는 이유

제 아이도 내년이면 유치원을 보내야 하고,

유치원을 보내게 되면 원비가 최소 40만 원 정도

들어가게 된다고 했습니다.

교육에 따라 원비도 달라지게 될 것이고

영어유치원을 보내시는 분들은 170~230만 원에

해당하는 금액을 지불하시겠지요?

저희는 영어유치원을 보낼 순 없고

일반 유치원을 보낼 예정이고,

가성비가 좋거나 아니면 집에서 가까운

유치원으로 고려해야 할 것 같습니다.

아이가 생기면 둘이 있을 때보다는 당연히 지출이

더 생길 수밖에는 없습니다.

다만, 아이가 태어나는 순간 부모 급여라고 해서

정부에서 지원해 주는 금액이 약 2년간 발생하죠

만약 집에서 돌봄을 한다고 가정했을 때,

* 0세는 100만 원

* 1세는 50만 원이 아동수당과는 별개로 지급이 됩니다.

큰 도움이 되는 부분이죠!

대신 이 기간이 지나고 나면 아동수당만 지급받게 됩니다.

이 금액을 활용하시는 분들도 있을 테고,

저희처럼 아이를 위해 저축을 하시는 분들도 있을 겁니다.

어찌 되었던, 저 금액이 있기 때문에

원활하게 2세까지는 넘어가실 수 있습니다.

그리고 옷과 장난감도 얻어서 사용할 곳이 있으면

얻어서 사용하면 최고인 거 같습니다.

7세까지 교육 부분을 어떻게 할지 고민이긴 하지만,

최대한 자산을 형성을 할 수 있는 시기라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와이프와도 함께 이야기를 해보았고,

그렇게 해야만 하는 이유를 몇 가지만 들어보았습니다.

1) 돈 때문에 남에게 아쉬운 소리를 하지 않았으면 좋겠다

2) 자산이 있어야 내 가족을 지킬 수 있다.

3) 물건을 살 때 웬만하면 그냥 살 수 있을 정도로

그렇게 살아음 좋겠다.

 

이런 몇 가지 이유를 들어 최대한 자산을 형성하고자

목표를 세웠고,

그렇게 하기 위해 꾸준히 주식투자를 하고 있습니다.

물론, 와이프는 제가 어떤 결과치를 내지 못해서

신뢰를 못하는 상황이기는 합니다.

하지만, 2025년 올해는 꼭 돈을 벌어야 합니다.

그런 기회가 오고 있고 기회를 놓치지 말고

돈을 벌수 있도록 공부를 꾸준히 하고자 합니다.

2. 미국 주식 하락과 함께

2/24 국내시장 대응전략 방안

2/24일 아침 출근길에 주식 관련 내용을 보면서

왔습니다. 최근 조정 구간에 들어왔다고 했고

미국 주식이 하락을 보였기 때문에

국내 주식장도 하락을 피할 수 없을 거라는

소식이었습니다.

우크라이나 재건 관련해서는

트럼프가 우크라이나 광물자원을 이용하여

재건 비용을 마련하겠다는 기사를 보았습니다.

이와 관련해서도 내용을 한 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정말 트럼프는 정치보다는 사업가의 면모를

나타내고 있는 거 같습니다.

 
네이버 증권에서 이미지 발췌

 

나스닥 지수가 -2.2% 정도 지수가 하락했습니다.

왜 하락했는지에 대해 코스피지수와 함께 기사 내용으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미국 시장에 대해서 살펴보면,

2월 미국 서비스 구매관리자지수(PMI) 가 23년 1월 이후

처음으로 기준치인 50을 밑돌았다고 합니다.

조세일보 기사에서 이미지 발췌_25/2/24_미국 월마트 매장[사진=연합뉴스 제공]

 

서비스업을 대다수로 하는 미국 경제에서 기준치 50을

밑돌았다는 것은 경기가 안 좋은 방향으로 흘러가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또한, 월마트의 주가가 최근 급락했는데,

월마트의 매출이 낮아진 게 아니라 시장 기대치에

못 미치는 연간 매출을 전망해서라고 합니다.

또한, 최고재무책임자는 '트럼프 리스크인 관세에

대한 예측 불가능성을 감안하지 않았다는 점을 발표하고

주가가 더 하락했다'고 합니다.

네이버 증권에서 이미지 발췌

 

* 엔비디아 -4.05%

* Meta -1.62%

* TSLA(테슬라) -4.68%

나스닥을 이끌고 있는 대표적인 회사들의 주가가

하락하고 말았습니다.

기사 내용처럼 대표적인 반도체 기업들이 하락하면서

우리나라의 반도체 기업들의 주가가 하락할 것이라고

예상되고 있습니다.

 

국내 증시는 지난주 말 스태그플레이션(경기 침체 속 물가 상승) 우려에

급락한 뉴욕 증시에 투자심리가 위축되면서 반도체주 중심으로 하락 중이다.

지난주 말 뉴욕 증시는 2월 미국 서비스 구매관리자지수(PMI)가 2023년 1월 이후

처음으로 기준치인 50을 밑돌자 경기 둔화에 대한 불안감이 커진 데다,

2월 기대 인플레이션이 급등해 물가 상승 우려까지 겹치면서 일제히 급락했다.

다우 존스 30 산업 평균 지수는 전장보다 1.69% 내렸으며 스탠더드 앤드푸어스

(S&P) 500지수와 나스닥지수도 각각 1.71%, 2.20% 떨어졌다.

엔비디아와 4% 넘게 급락했으며 브로드컴(-3.6%), AMD(-2.9%) 등이 내리면서

필라델피아반도체지수는 3.3% 급락하며 7거래일 만에 약세로 돌아섰다.

이코노미스트 기사에서 내용 발췌_25_2/24

3. 2/24, 코스피지수 확인 및

개별주 투자 진행사항 확인!

2/24, 코스피 주가지수는 2,650에서

-0.6% 하락하여 2,638에 안착해 있습니다.

오전보다는 조금 반등한 지수입니다.

미국 증시에서 하락한 부분이 반영된 모습이며,

반도체 지수가 하락한 만큼 국내 반도체 기업들도

그대로 하락한 모습들을 보였습니다.

 

한지영 키움증권 연구원은 "지표 부진과 기대 인플레이션 상승의 동반 출현이

미국 증시에 스태그플레이션 불안을 자극한 가운데 국내 증시는

미국 증시 급락 여파 등에 그간의 단기 랠리를 소화하는 흐름을 보일 것"이라고 설명했다.

시가총액 상위 종목 중 삼성전자(-1.20%), SK하이닉스(-3.10%) 등 반도체 주가

동반 급락 중이며 삼성바이오로직스(-0.95%), 셀트리온(-0.62%),

현대차(-0.49%), 기아(-0.11%) 등도 약세다.

연합뉴스 기사에서 내용 발췌_250224

 
네이버 증권에서 이미지 발췌

 

2/24, 코스피는 하락했다 반등하는 추세입니다.

다행히 낙폭이 크지 않아서 차분히 대응할 수 있었습니다.

최근 이렇게 국내 주식에 대해 꾸준히 공부를 하고 있고

자산을 잃지 않으면서 수익을 내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 중입니다.

1) 개별주 투자 : 개별주 투자로 50% 수익을 내기 위해

공부를 하고 있고, 오늘도 열심히 달렸습니다.

2/24일은 반도체주와 반도체 장비 주가

확실히 약세를 보인 날입니다.

SK 하이닉스 -2.15%, 제너셈이 5.64%

한미반도체도 -4.72%로 하락하였습니다.

조선주는 오전에 상승으로 출발하다가

하락으로 마무리하였는데,

추가 차익실현에 나선 것으로 보입니다.

아래 대형주가 큰 폭의 움직임은 없었습니다.

다만, 물류 쪽 해운사들의 주가가 큰 폭으로

상승하는 그런 흐름을 보였습니다.

* 삼성전자 -1.55%

* 현대모비스 +0.79%

* SK텔레콤 +0.86%

* 현대글로비스 +5.38%

아래 내용 때문에 2/24, 해운사 주가가

큰 폭으로 상승하였습니다.

 

 

지수는 빠졌지만 미국 정부가 중국 선사와 중국산 선박과 관련한

해상 운송 서비스에 수수료를 부과한다는 소식에 국내 해운·조선 기업들은

반사 수혜가 기대되며 강세를 보였습니다.

미국 무역대표부가 추진하는 방안은 미국 항구에 중국 선사의 선박이 들어오면

최대 100만 달러, 중국산 선박일 경우 최대 150만 달러의 수수료를

부과하는 내용 등이 담겼죠.

한국경제TV 기사에서 내용 발췌

* 효성중공업 : 0.1% 수익 중 (2/24, -4.68% 하락)

2/19일 첨단산업 육성을 위한 국가 기간 전력망 확충 법과

고준위방폐장특별법, 해상풍력 특별법 등 '에너지 3법'이

19일 국회 산업 통상 자원 중소 벤처기업 위원회 전체회의를 통과

2/24, 전력망은 향후 데이터센터 구축을 위해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예상

* 더존비즈온 : 13% 수익 중(2/24, -5.5% 하락)

2/20, 10주 추가 매수 진행

클라우드 쪽 매출액이 높아지면서

영업이익률이 증가하는 업체입니다.

주가가 하락하고 있지만,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말해주고 있는 기업이라 꾸준히 들고 가려 합니다.

추가로 더존 뱅크 컨소시엄도 3월 말 예비인가 목표로

본격화할 예정이라고 하니 지켜볼 만할 것 같습니다

* 스튜디오 드래곤 : -21% 손실 중

한한령 해제에 대한 기대감은 여전히 있고,

25년에는 매출액과 영업이익에 대한 개선감도 있습니다.

​​

​오늘도 블로그에 글을 남기면서

생각을 정리해 봅니다.

4) 주택 담보대출은 얼마나 줄일 수 있는가?

→ 3년 내 주 담대 80% 상환 목표 설정!

5) 1주택 갈아타기 시점은 언제로 할 수 있는가?

→ 1주택 갈아타기 시점을 언제로 할 수 있을지에 대해

25년 국내 주식장에서 수익 극대화로

시드머니를 마련해 보고 결정하자!

자산을 만드는 것은

Just do it!

무조건 하고 보는 거라고 생각합니다.

이 생각은 변함이 없습니다.

 

자신의 시간과 노동력을 레버리지 당하고 있다는 사실을

인지하고 있어야 하며, 언제가 그 틀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입니다.

 

오늘도 자산가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하고,

파이팅 넘치는 하루 보내시길 바라겠습니다.

좋은 하루 보내세요~

반응형

댓글